집에 데스크탑 컴퓨터가 추가되어, 무선랜카드를 통하여 다른 방의 공유기를 통해 인터넷을 사용했던 적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공유기가 너무 오래전 기종이라 그런지 신호강도가 너무 약하여 인터넷이 자주 끊겨서 불편했습니다. 공유기를 최신 기종으로 다시 샀는데 문제는 설치된 컴퓨터가 윈도우7이라 설치할 수 없어서 얼마나 당황했는지 모릅니다.
그런데 그 당시에 핸드폰 요금제를 100GB 데이터로 바꾼 것이 문득 떠올랐습니다. 100GB중에 저는 10~20GB를 실제 사용중이었습니다. 그리고 데스크탑에는 무선랜카드가 연결되어 있었습니다. 휴대폰 모바일 핫스팟을 켜니까 이게 웬일일까요? 신호강도가 약한 공유기보다 훨씬 빠른 인터넷 속도로 너무 편리하게 인터넷 사용이 가능한 것 아니겠어요?
요즘 워낙 통신기술이 발전하고 핸드폰으로도 영상시청이 많아지다보니, 통신사에서도 휴대폰 대용량 데이터 요금이 많이 저렴해졌습니다. 본인 휴대폰에 데이터량이 충분한 요금제를 사용한다면, 유선인터넷 없이도, 공유기 없이도 충분히 원활한 인터넷을 집에 있는 데스크탑이나 노트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1. 모바일 핫스팟 준비물
1) 휴대폰
- 갤릭시, 아이폰 모델 대부분 ‘모바일 핫스팟’ 가능
- 5G나 LTE 요금제 사용시 더욱 통신 빠름
2) USB형 무선 랜카드
- 데스크탑인 경우 무선 인터넷 기능이 없는 경우가 많으므로 랜카드 별도 구매 필요
- 노트북은 무선 인터넷 기능 내장이 많음. 내장된 경우는 랜카드 구매 필요 없음
- 랜카드는 ipTIME, 넷기어 등의 업체에서 무선랜카드 검색하여 구매. 너무 고가는 필요 없음. 3만원대 가능.
2. 모바일 핫스팟 설정법 (갤럭시 기준)
1) 설정 앱 열기
2) [연결] → [모바일 핫스팟 및 테더링] 클릭
3) [모바일 핫스팟] 활성화
4) ‘네트워크 이름’과’ 비밀번호’를 원하는 대로 설정
3. 데스크탑 컴퓨터에서 연결하는 방법
1) 무선 랜카드를 컴퓨터 USB에 꽂는다(노트북은 무선인터넷 기능 내장시에 무선 랜카드 불필요)
2) 처음 사용 시 드라이버 자동설치됨 (또는 설치 CD 제공)
3) 컴퓨터 화면 우측 하단의 Wi-Fi 목록에 ‘네트워크 이름’이 뜨면 클릭
4) 비밀번호 입력 후 연결하면 인터넷 사용 가능!
4. 주의사항
- 휴대폰의 배터리 소모가 빨라지므로, 충전기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을 권장함.
5. 모바일 핫스팟이 적합한 사람
- 1인 가구 – 인터넷 유선 공사 필요없이 활용 가능
- 이동이 잦은 사람 – 휴대폰과 충전기만 있으면 어디서든 노트북 인터넷 사용 가능
- 공유기 설치가 어렵거나, 공유기 강도가 약해서 인터넷이 불편할 때
실제 모바일 핫스팟을 사용하면 유선 인터넷을 사용하는 것 못지않게 통신 성능이 원활하다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동영상 강의 등을 시청하여도 효과가 좋았습니다.
대신 보유하신 휴대폰 요금제에 따라서 특히 드라마나 영화 등 시청이 많을 때 데이터량이 부족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앞서 말한 조건에 해당되는 분들은 한번 시도할만한 일이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